[카테고리:] 이슈

전반적인 속보와 이슈를 다룹니다.

  • 구미라면축제 때아닌 흑인비하 논란, 둘리 마이콜 한국인 캐릭터일뿐

    구미 라면축제 ‘마이콜’ 분장, 때아닌 ‘블랙페이스’ 인종차별 논란

    지난 주말 35만 명의 인파가 몰리며 성황리에 막을 내린 2025 구미라면축제가 때아닌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축제 홍보를 위해 제작된 영상 속 ‘아기공룡 둘리’의 캐릭터 ‘마이콜’ 분장이 흑인을 비하하는 의미를 담은 ‘블랙페이스’를 연상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입니다.


    “라면과 구공탄” 패러디 영상

    논란은 구미시 공식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라면축제 홍보 영상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영상은 1980년대 인기 애니메이션 ‘아기공룡 둘리’의 삽입곡 ‘라면과 구공탄’을 패러디한 내용입니다. 영상에는 둘리, 또치, 도우너, 그리고 마이콜 캐릭터로 분장한 배우들이 등장해 노래를 부릅니다.

    문제는 마이콜 캐릭터의 묘사 방식이었습니다. 해당 역할을 맡은 배우는 얼굴 전체에 짙은 갈색 분장을 하고, 곱슬머리 가발과 동그란 선글라스를 착용한 채 두꺼운 입술을 강조하는 분장을 하고 등장했습니다.

    이 영상의 캡처 화면이 해외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에 “한국의 한 도시(구미시)가 홍보 영상에 블랙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제목으로 게시되면서 논란은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블랙페이스’란 무엇이며, 왜 문제가 됬는가?

    ‘블랙페이스(Blackface)’는 비흑인 배우가 흑인을 희화화하거나 흉내 내기 위해 얼굴을 검게 칠하는 분장을 말합니다. 이는 19세기 미국에서 유행했던 ‘민스트럴 쇼(minstrel show)’에서 백인 배우들이 흑인 노예를 조롱하고 비하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당시 공연들은 흑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퍼뜨리는 인종차별적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 블랙페이스는 전 세계적으로 인종차별과 문화적 무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금기시되고 있습니다.

    해외 네티즌들은 “이것이 시청 공식 유튜브 채널이 맞나?”, “블랙페이스는 인종 관련해서 너무 유명한 이슈인데 얼굴에 왜 칠을 하나”, “시대랑 맞지 않다” 등의 댓글을 달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일부 시청자는 구미시와 국가인권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한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마이콜은 원래 한국인 캐릭터”

    반면, 이번 분장이 인종차별적 의도가 없었다는 옹호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원작 ‘아기공룡 둘리’에서 마이콜은 까만 피부와 곱슬머리를 가졌지만, 설정상 ‘마(馬)씨 성을 가진 토종 한국인’ 가수 지망생 캐릭터 입니다.

    따라서 구미시의 홍보 영상은 인종차별의 의도 없이 원작 캐릭터를 충실하게 재현하려 했을 뿐이라는 주장입니다. “마이콜은 원래 저렇게 생긴 캐릭터 아니냐”며, 이를 블랙페이스의 역사적 맥락과 연결 짓는 것이 과도한 해석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 박미선, 삭발 투혼과 유방암 투병 기, ‘완쾌된게 아니다’ 유방암파티 논란

    박미선, 삭발 투혼과 유방암 투병 고백… ‘유퀴즈’에서 전한 긍정과 최근 논란

    국민 MC 박미선이 최근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에 짧게 깎은 머리로 등장해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유방암 투병 사실을 고백한 이후, 한층 건강해진 모습으로 돌아온 그녀의 용기 있는 모습에 많은 응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투병 과정에서 겪었던 고통과 이를 이겨낸 긍정적인 마음가짐, 그리고 최근의 활동까지 박미선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여다보았습니다.

    1. “용감하게 나온 거예요”… 삭발 투혼으로 전한 희망

    ‘유퀴즈’에 등장한 박미선은 짧은 머리에 대해 “많은 분들이 보시고 놀라실까 봐, 너무 파격적인 모습으로 나와서 용감하게 나온 거예요 사실은”이라며 멋쩍은 미소를 보였습니다. 이는 유방암 항암 치료 과정에서 겪은 자연스러운 변화였고, 이를 숨기지 않고 당당하게 방송에 복귀한 그녀의 모습은 많은 환우들과 대중에게 큰 용기를 주었습니다.

    그녀는 아직 체력이 완전히 올라오지 않았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으면서도, 특유의 유쾌함을 잃지 않는 모습으로 시청자들을 안심시켰습니다.

    2. “완쾌라는 단어를 쓸 수 없는 유방암”… 폐렴으로 겪은 위기

    박미선은 자신이 앓고 있는 유방암에 대해 “완쾌라는 단어를 쓸 수 없는 유방암”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완치 판정 이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녀가 여전히 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투병 과정은 결코 순탄치 않았습니다. 특히 항암 치료 중 면역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폐렴으로 2주간 입원했던 경험을 털어놓았습니다. 그녀는 “살려고 하는 치료인데 거의 죽을 것 같은 거예요”라며 당시의 심각했던 상황을 회상했습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고열에 시달리며 온갖 항생제를 투여받았고, 얼굴이 붓는 등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3. 고통 속에서 찾은 ‘감사함’이라는 즐거움

    하지만 박미선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감사함’을 찾으며 긍정의 힘으로 병을 이겨냈습니다. 그녀는 “겨울에 아팠던 것도 감사하고, 한여름에 시원한 곳에서 치료를 받는 것도 감사했다”고 말하며, 힘든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생각의 전환은 고통스러운 치료 과정을 “굉장히 즐거운” 시간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녀는 “아파 보니 제가 이렇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는 걸 알겠더라고요”라며 주변 사람들의 걱정과 염려 속에서 큰 힘을 얻었음을 고백해 뭉클함을 안겼습니다.

    4. ‘유방암 파티’ 논란, 어떻게 봐야 할까?

    박미선 씨의 용기 있는 투병 고백과 맞물려, 최근 연예계에서는 유방암 관련 행사를 둘러싼 논란이 일었습니다. 매년 패션 매거진 ‘W 코리아’에서 주최하는 ‘유방암 인식 향상 캠페인’ 자선 행사가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 ‘유방암 파티’로 불리며 비판에 휩싸인 것입니다.

    행사의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일부 참석 연예인들이 술잔을 들고 파티를 즐기는 모습이 SNS에 공개되면서 “유방암에 가장 안 좋은 게 술인데, 환우 가족으로서 불쾌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특히 가수 박재범이 여성의 몸매를 언급하는 내용의 히트곡 ‘몸매’를 부른 것이 알려지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습니다. 그는 “유방암으로 절제 수술을 받은 환우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에 직면했고, 결국 “암 환우 분들을 비하할 의도는 절대 없었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박미선 씨가 직접 이 행사에 참여한 것은 아니지만, ‘유퀴즈’에서 함께 호흡을 맞추는 조세호 씨를 비롯한 많은 스타들이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물론 좋은 취지와 자선 행사가 때 아닌 연예인 친목파티로 변질되어 안타까웠습니다.

    이번 논란은 행사의 본질과 별개로, 질병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함에 있어 더욱 세심하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힘든 투병 생활을 이겨내고 더욱 단단해진 모습으로 돌아온 박미선. 그녀의 용기 있는 발걸음과 앞으로의 건강한 활동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미스 유니버스 집단 퇴장 사태! 멕시코 참가자 공개 모욕과 ‘비공식 만찬’ 내막은?

    미스 유니버스 참가자 집단 퇴장 사태! 멕시코 참가자에 대한 공개적 모욕과 ‘비공식 만찬’ 내막은?

    지난 2025년 11월 4일에 열린 최근 세계적인 미인대회인 ‘미스 유니버스’ 예비 행사에서 전례 없는 참가자들의 집단 퇴장 사건이 발생하여 큰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단순히 대회 고위 관계자의 질책 때문에 벌어진 일이 아니라, 여성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공개적인 모욕과 ‘비공식적 행사’를 둘러싼 주최 측의 무리한 권한 남용이 빚어낸 사건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해외 기사와 보도를 통해 이 사태의 배경과 내막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논란의 중심 인물나왓 이싸라끄리씬(Nawat Itsaragrisil) 미스 유니버스 태국 디렉터(Miss Universe Thailand director)입니다. 그는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되던 행사에서 미스 멕시코 파티마 보쉬(Fátima Bosch)를 공개적으로 지목하며 비난했습니다.

    STOP! SIT DOWN

    나왓 디렉터는 보쉬에게 후원사 홍보 콘텐츠를 올리지 않은 것에 대해 따졌고, 보쉬가 자신을 변호하려고 하자 그녀의 말을 여러 차례 끊으며 “멍청(dumb/stupid)” 등의 모욕적인 언사를 사용했습니다.

    이에 보쉬는 “당신은 저를 여성으로서 존중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제 나라를 대표해서 여기에 왔습니다”라며 공개적으로 항의했습니다. 나왓 디렉터가 결국 경호원까지 불러 보쉬의 퇴장을 명령하자, 그녀는 당당하게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습니다.

    이때, 다수의 참가자들이 미스 멕시코를 지지하며 집단으로 퇴장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현 미스 유니버스 우승자인 덴마크의 빅토리아 카에르 테일비그(Victoria Kjær Theilvig)를 포함한 여러 참가자들이 “여성의 권리에 관한 문제”라며 연대를 표했습니다. 나왓 디렉터가 “계속 참가하고 싶은 사람은 앉으라”며 협박했음에도 불구하고 퇴장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내막: 논란의 ‘비공식 만찬’과 권한 다툼

    미스 멕시코가 홍보 활동에 적극 협조하지 않았다고 질책당한 배경에는 미스 유니버스 주최국인 태국 측이 추진했던 ‘비공식 만찬 및 토크쇼’ 행사가 있었습니다.

    문제의 이벤트: 나왓 디렉터는 자신의 다른 대회(미스 그랜드 인터내셔널)에서 자주 사용하던 방식으로,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된 “Top 10 후보자” 와 단독으로 만찬을 하는 행사를 기획했습니다.

    성 상품화 및 비공식 논란: 일부 참가자들과 그들의 국내 디렉터들은 해당 행사가 “부적절한 활동”이며 미스 유니버스 대회의 공식 스케줄에도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참가를 거부했습니다. 미스 멕시코 역시 이 행사에 대한 참여에 조언을 구하고 불참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UO의 입장: 미스 유니버스 조직위원회(MUO)는 해당 투표 및 만찬 행사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무단 이벤트”임을 즉시 발표하며 나왓 디렉터 측과 거리를 두었습니다. 이는 주최 측 고위 관계자 간의 권한 다툼과 갈등이 참가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줍니다.

    결국 후원사들이 “우려와 압박”을 표명하면서 논란이 된 ‘특별 만찬 및 토크쇼’ 행사는 취소되었습니다.

    사태에 대한 공식 반응과 여론

    미스 유니버스 조직위원회(MUO)의 라울 로차 칸투(Raúl Rocha Cantú) 회장은 영상 성명을 통해 나왓 디렉터의 행동을 “악의적”이라고 비난하며, “여성의 존중과 존엄성이라는 가치를 침해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나왓 디렉터는 이후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자신의 행동이 “인간으로서 압박감 때문이었다”고 해명했을 뿐, 모욕을 당한 미스 멕시코에게 직접 사과하지는 않아 진정성에 대한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번 사건은 미인대회 산업 내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구시대적인 권위주의여성 참가자에 대한 존중 부족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용기 있게 ‘침묵하지 않고 목소리를 낸’ 행동은 전 세계 팬들로부터 큰 지지와 연대를 얻고 있습니다.

    출처 : South China Morning Post / Reuters facebook.